반응형
Greedy Algorithm(탐욕 알고리즘)
정의
- 탐욕 알고리즘은 최적해를 구하는 데에 사용되는 근사적인 방법으로, 여러 경우 중 하나를 결정해야 할 때마다 그 순간에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선택해 나가는 방식으로 진행하여 최종적인 해답에 도달한다. 순간마다 하는 선택은 그 순간에 대해 지역적으로는 최적이지만, 그 선택들을 계속 수집하여 최종적(전역적)인 해답을 만들었다고 해서, 그것이 최적이라는 보장은 없다.
동적 계획법과 탐욕 알고리즘의 차이
- 동적 계획법은 최적의 해를 구하긴 하지만 탐욕 알고리즘 보다는 덜 효율적이다.
- 반면 탐욕 알고리즘은 동적 계획법보다 효율적이긴 하지만 반드시 최적의 해를 구해준다는 보장은 하지 못한다.(최적 해가 나오기를 바랄 뿐)
동작과정
- 동적 계획법처럼 대상 문제가 최적 부분 구조를 갖고 있어야한다.
- 해 선택 : 현재 상태에서 부분 문제의 최적 해를 구한 뒤, 이를 부분해 집합(Solution Set)에 추가
- 실행 가능성 검사 : 새로운 부분해 집합이 실행가능한지를 확인, 문제의 제약 조건을 위반하지 않는지 검사
- 해 검사 : 새로운 부분해 집합이 문제의 해가 되는지를 확인, 아직 전체 문제의 해가 완성되지 않았다면 1.의 해 선택부터 다시 시작
거스름돈 줄이기
물건 가격이 1200원이고 고객이 1000원 지폐 두 개를 지불하면 거스름돈 800원을 고객에게 줘야 한다. 이때 100원짜리 8개를 줄 수도 있지만 동전의 개수를 최소한으로 하려면 500원 짜리 한개와 100원 짜리 3개를 줘야한다.
알고리즘
해 선택 : 가장 좋은 해를 선택. 단위가 큰 동전으로만 거스름 돈을 만들면 동전의 개수가 줄어듬. 그러므로 현재 고를 수 있는 가장 단위가 큰 동전을 하나 골라 거스름돈에 추가
실행 가능성 검사 : 거스름돈이 손님에게 내드려야 할 액수를 초과하는지 검사. 초과한다면 마지막에 추가한 동전을 거스름돈에서 빼고 1.로 돌아가 현재보다 한 단계 작은 단위의 동전을 추가
해 검사 : 거스름돈 문제의 해는 당연히 거스름돈이 손님에게 내드려야하는 액수와 일치하는 것으로 액수가 일치하지 않으면 1.을 다시 돌아가서 추가할 동전 선택
public class GreedyAlgorithm {
private int[] coinUnits;
private int[] chang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GreedyAlgorithm al = new GreedyAlgorithm();
al.coinTest();
}
void coinTest() {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동전의 가짓수를 입력 : ");
int unitCount = scan.nextInt();
coinUnits = new int[unitCount];
change = new int[unitCount];
for (int i =0; i<unitCount; i++) {
System.out.print("[" + i+"] 번째 동전 단위를 입력 : ");
coinUnits[i] = scan.nextInt();
}
System.out.print("물건 가격 입력 : ");
int price = scan.nextInt();
System.out.println("손님이 지불한 금액 : ");
int pay = scan.nextInt();
getChange(price,pay,unitCount);
printChange(unitCount);
}
/**
* 거스름돈 계산을 위한 func 선언
* @param price
* @param pay
* @param coinUnits
* @param change
* @param size
*/
void getChange(int price, int pay, int size) {
int changeAmount = pay - price;
for (int i=0; i< size; i++) {
change[i] = countCoins(changeAmount, coinUnits[i]);
changeAmount = changeAmount - (coinUnits[i] * change[i]);
}
}
/**
* 거스름돈 계산을 위한 func 구현
* @param amount
* @param coinUnit
* @return
*/
int countCoins(int amount, int coinUnit) {
int coinCount = 0;
int currentAmount = amount;
while(currentAmount >= coinUnit) {
coinCount++;
currentAmount = currentAmount - coinUnit;
}
return coinCount;
}
/**
* 결과출력
* @param coinUnits
* @param change
* @param size
*/
void printChange (int size) {
for(int i =0; i<size; i++) {
System.out.printf("%8d원 : %d개\n", coinUnits[i], change[i]);
}
}
}
800원의 거스름돈을 돌려줘야 하는 상황에서 400원자리 동전이 있다고 치면 400원 짜리 2개를 주면되지만, 위 알고리즘 대로 하면 500원짜리 한개와 100원짜리 3개를 주게된다. 그러므로 거스름돈을 만드는 탐욕 알고리즘은 항상 최적이지 않다. 거스름돈 알고리즘 처럼 항상 최적의 결과를 보장하지 못한다는 것도 탐욕 알고리즘의 중요한 속성
반응형
'Algorithms > stru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구간합 (0) | 2023.04.18 |
---|---|
12. Graph(그래프) (0) | 2023.04.18 |
10. DeviedAndConquer(분할정복) (0) | 2023.04.18 |
9. Sort(정렬) (0) | 2023.04.18 |
8. Dynamic Programming(동적 계획법) (0) | 2023.04.18 |